Choong Sup Lim pursues multidisciplinary experimentation across the mediums of painting, drawing, sculpture, installation, and video to establish his own formal language.
Born in 1941 in Jincheon, Chungcheongbuk-do, where he also spent his childhood, Choong Sup Lim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Fine Arts in 1964. Since moving to New York in 1973, he has continued to live and work there while experimenting with semi-abstract or materiality-centered paintings and installations.
Lim states that “the surface of my works are visual satires placed in between urban civilization and nature in contemporary times.” The aforementioned “nature” refers to his hometown of Jincheon, where he spent his childhood, while the “city” is New York, where he continues to realize his aspirations as an artist. In this sense, his works emanate from the canvas as a mixture of nostalgia, childhood memories, and lived experiences in New York.
From the 1970s, when he started to live in New York, and through the 1980s, Choong Sup Lim produced minimal drawings on Korean paper, assemblages of found objects, irregular canvas works, and installations that utilized walls and floors. In the 1990s and 2000s, he would begin to utilize objects more actively—to him, found objects are objects “that house traces of the modern person’s subconscious.” Memories within such objects that enclose not only the artist’s self but time itself is another element that inspires him. Indeed, he has deeply contemplated the meaning and potentiality inherent to mediums by freely experimenting with countless different materials. From the 2010 through the present, Choong Sup Lim has continued to expand the breadth of his work by presenting complex installations that reflect a Korean sensibility.
Choong Sup Lim gives sculptural form to the memory and sentiment of nostalgia and longing. Art critic Oh Kwang-su has commented that Choong Sup Lim’s works revive worn-out memories and harken us back to scenes of past times like “shadows of a landscape painting.” In other words, they act as sentimental spaces that bridge landscapes of a certain era and the inner lives of human beings.
임충섭은 회화, 드로잉, 조각, 설치, 영상 등 매체에 구애 없는 예술적 실험을 전개하며 자신만의 독자적인 조형 세계를 구축한 작가다.
1941년 충청북도 진천에서 출생하여 유년기를 보낸 그는 1964년 서울대 미술대학을 졸업했다. 반추상이나 물성이 강조된 회화 및 설치 작품을 실험하던 그는 1973년 뉴욕으로 이주해 현재까지 지내며 작품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작가는 “내 작품의 표면은, 현대가 갖는 도시문명과 자연, 그 사잇에 놓여진 시각적 해학”이라고 설명한다. 작가의 말에서 자연은 어린시절을 보낸 고향 진천을, 도시는 작가로서 꿈을 펼치기 위해 살고 있는 뉴욕이라는 도시를 의미한다. 그의 작품은 어린시절 기억과 향수, 뉴욕 생활의 경험이 혼재되어 캔버스 위에 나타난 결과인 셈이다.
뉴욕 생활을 시작한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작가는 한지를 재료로 미니멀한 드로잉을 제작하거나, 발견된 오브제를 아상블라주하고, 비정형 캔버스 작품과 벽과 바닥을 활용한 설치 작품 등을 전개해 갔다. 1990년대와 2000년대, 그는 작품에 더욱 적극적으로 오브제를 활용한다. 작가에게 발견된 오브제는 “현대인의 잠재의식의 흔적을 간직한” 대상이다. 작가 자신뿐 아니라 시간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사물에 깃든 기억 역시 그의 작업에 영감을 주는 요소이다. 그는 다종다양한 재료를 가지고 실험하며 매체의 고유성에 대한 의미와 가능성을 탐구했다. 2010년대, 임충섭은 한국적 정서를 반영한 복합적인 형태의 설치 작품을 발표하며 멈춤없는 창작 활동을 펼치고 있다.
임충섭은 향수와 그리움이라는 기억과 정서를 조형 언어로 형상화한다. 미술평론가 오광수는 마치 “풍경화의 그림자” 같은 임충섭의 작품이 풍화된 기억을 되살리고 그 시절의 장면을 떠올리게 만든다고 언급한 바 있다. 즉, 그의 작품은 어떤 시대적 풍경과 인간의 내면을 잇는 정서적 공간으로 작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