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young Kim

“What we call a ‘story’ is something that by its nature always changes and transforms through its utterance, so that every kind of ‘story’ has a fundamentally synthetic quality. [. . .] Petra Genetrix is a genderless being, and its basic profundity originates in that fundamental ambiguity.” - Ayoung Kim

In her work, the artist Ayoung Kim reconstructs complex narratives grounded in her voluminous research on history and contemporary issues that, include matters such as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geopolitics, transportation, and supranational movements. Her practice spans genre boundaries and, incorporates video, sound, performance, fiction, and texts. She creates multidimensional, fluid narratives through approaches such as speculative storytelling and narrativity, worldbuilding, and mythmaking. One method applied in this process involves the exhaustive collection of information about specific events and places—a process that serves not as a reaffirmation of historical facts, but instead as a potential means of deconstructing and subverting history. Through a journey of endless movement and subversion, Kim suggests stories about the truths behind those things we believe to be “facts.” In an era of global crisis and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where all the truths we have believed so far are undermined, Ayoung Kim’s works stimulate our speculative imagination and suggest the possibilities of new life where people coexist with nature, objects, and non-beings, further away from anthropocentrism.  

Ayoung Kim has presented exhibitions and projects at major institutions in Korea and around the world, including Oxbow Lake Time (Video Brasil, São Paulo, 2021, Online Solo Screening), Porosity Valley (Ilmin Museum of Art, Seoul, 2018), Porosity Valley, Portable Holes (Melbourne Festival, Melbourne, 2017), In This Vessel We Shall Be Kept (Palais de Tokyo, Paris, 2016), The Railway Traveler’s Handbook (Culture Station Seoul 284, Seoul, 2014), PH Express (Künstlerhaus Bethanien, Berlin, 2012), Minima Memoria (Street Level, Glasgow, 2010), and Ephemera (I-Myu Projects, London, 2009). 

Kim has participated in numerous feature exhibitions in Korea and overseas, including Post Nature: Dear Nature (Ulsan Art Museum, Ulsan, 2022), Human, 7 Questions (Leeum, Samsung Museum of Art, Seoul, 2021), If Time is Money, Are ATMs Time Machines? (G Museum of Art X Kadist, Nanjing, 2021), Art as Connection (Aargauer Kunsthaus, Aarau, 2021), Posteriority (Museum of Contemporary Art Busan, Busan, 2021), Nothing Makes Itself (ARKO Art Center, Seoul, 2021), From Object to Cosmos (Kaohsiung Museum of Fine Arts, Kaohsiung, 2021), Frequencies of Tradition (Times Museum, Guangzhou, 2020), Korea Artist Prize (MMCA, Seoul, 2019), Migration – Speaking Nearby (Asia Culture Center, Gwangju, 2019), The Ouroboros (Casino Luxembourg, Luxembourg City, 2019; The Cube Project Space, Taipei, 2019), SeMA’s New Acquisitions – Heaven, Earth and Men (Seoul Museum of Art, Seoul, 2018), Post Institutional Stress Disorder (Kunsthal Aarhus, Aarhus, 2018), BMA New Acquisitions 2017 (Busan Museum of Art, Busan, 2018), Desk Set (CAC Brétigny, Brétigny-sur-Orge, 2018), Festival Manca (Centre National de Création Musicale, Nice, 2016), and Art Spectrum 2012 (Leeum, Samsung Museum of Art, Seoul, 2012). She has also participated in numerous biennials, including the Asian Art Biennial (Phantasmapolis, National Taiwan Museum of Fine Arts, Taichung, 2021), the Busan Biennale (Words at an Exhibition – an exhibition in ten chapters and five poems, Museum of Contemporary Art Busan, Busan, 2020), the Gwangju Biennale (Imagined Borders, Gwangju Biennale Exhibition Hall, Gwangju, 2018), and the Venice Biennale (All the World’s Futures, Arsenale, Venice, 2015). 

Kim’s video works have been shown at the Berlin Sci-fi Filmfest (Berlin, 2021), ARKIPEL: Jakarta International Documentary and Experimental Film Festival (Jakarta, 2021), KFFK / Short Film Festival Cologne (Filmforum, Museum Ludwig, Köln, 2021), the 22nd and the 21st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Jeonju, 2021, 2020), the 70th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erlin, 2020), the 10th Bucharest International Experimental Film Festival (Bucharest, 2020), 21st San Diego Asian Film Festival (San Diego, 2020), the 22nd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Seoul, 2020) and the 3rd and the 1st Sharjah Film Platform (Sharjah, 2020, 2018). She has also staged performances at prominent global festivals and institutions, including the IMPAKT Festival 2020 (Zero Footprint, Utrecht, 2020), MMCA Seoul (In Search of Petra Genetrix, Seoul, 2020), MMCA Gwacheon (Fraud Tectonics, Gwacheon, 2016), and the Palais Garnier–Paris Opera House (In This Vessel We Shall Be kept, Paris, 2016). 

Kim has been honored as the recipient of the Best Film Award at the 7th Chuncheon SF Film Festival (2020) and the Young Artist of the Year Award from the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5). She was a finalist for the Korea Artist Prize from MMCA (2019) and received the British Institution Award from the Royal Academy of Arts (2010). Her work is included in the collections of prominent institutions such as the Kadist Foundation, MMCA, SeMA, Museum of Contemporary Art Busan, Busan Museum of Art, and Leeum, Samsung Museum of Art. 

“‘이야기’라는 것은 발화를 통해 늘 변화하고 변형되는 성질을 지녔고 따라서 모든 종류의 ‘이야기’는 근본적으로 합성적 성격을 띤다. (...) 페트라 제네트릭스는 젠더 없는 존재, 근본적인 심원함은 그것의 근본적인 모호함으로부터 비롯된다.” - 김아영

김아영은 한국 근현대사, 지정학, 이송, 초국적 이동 등 역사적 사실과 동시대적인 이슈를 방대한 리서치를 통해 복합적인 내러티브로 재구성한 작업을 선보여왔다. 작가는 영상, 사운드, 퍼포먼스, 소설, 텍스트 등 매체의 경계를 넘나들며, 사변서사 만들기, 내러티브성, 세계구축, 신화짓기 등의 전개 방식을 통해 다차원적이고 유동적인 내러티브를 구성한다. 이러한 작업 과정에서 작가는 구체적인 사건이나 장소에 대한 철저한 자료 수집을 하나의 방법론으로 삼는데, 이는 그에게 역사적 사실을 재확인하는 절차가 아니라 역사를 해체하고 전복시킬 가능성으로 작동한다. 이를 통해 김아영은 우리가 ‘사실’이라고 믿는 것 이면의 ‘진실’에 관한 이야기를 끊임없이 이동하고 전복하는 여정을 통해 들려준다. 지금까지 우리가 믿어 왔던 모든 사실이 흔들리며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전지구적 위기의 상황에서, 김아영의 작업은 우리의 사변적 상상을 자극하며, 더 나아가 인간중심주의에서 벗어난 사람과 자연, 사물, 비존재 등이 공생하는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김아영은 《감각의 공간, 워치 앤 칠 2.0》(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2022), 《크리스털 난기류》(관두미술관, 타이페이, 2022), 《우각호 시간》(비데오브라질, 상파울루, 2021), 《다공성 계곡》(일민미술관, 서울, 2018), 《다공성 계곡, 이동식 구멍들》(멜버른 페스티벌, 멜버른, 2017), 《이 배가 우리를 지켜주리라》(팔레 드 도쿄, 파리, 2016), 《레일웨이 트래블러스 핸드북》(문화역서울 284, 서울, 2014), 《PH 익스프레스》(퀸스틀러하우스 베타니엔, 베를린, 2012), 《미니마 메모리아》(스트릿 레벨, 글라스고, 2010), 《이페메라》(아이뮤 프로젝트, 런던, 2009) 등 한국을 비롯해 세계 주요 기관에서 전시와 프로젝트를 선보였다.

《신체 코스모스: 함께 사는 예술》(X 뮤지엄, 베이징, 2022), 《포스트 네이처: 친애하는 자연에게》(울산시립미술관, 울산, 2021), 《인간, 일곱 개의 질문》(리움미술관, 2021), 《시간이 돈이라면, ATM은 타임머신일까?》(G 뮤지움 오브 아트 x 카디스트, 난징, 2021), 《연결로서의 예술(Art as Connection)》, (아르가우어 쿤스트하우스, 아라우, 2021), 《그 후, 그 뒤, (Posteriority)》(부산현대미술관, 부산, 2021), 《횡단하는 물질의 세계 – 아르코 페스티벌》(아르코미술관, 서울, 2021), 《사물에서 우주로(From Object to Cosmos)》(가우슝 시립미술관, 가우슝, 2021), 《송출된 과거, 유산의 극장(Frequencies of Tradition)》 (타임즈 미술관, 광저우, 2020), 《올해의 작가상》(MMCA 서울, 2019), 《이주 서사(Migration – Speaking Nearby)》(국립아시아문화 전당, 2019), 《우로보로스》(카지노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시티, 2019; 더 큐브 프로젝트 스페이스, 타이페이, 2019), SeMA 신소장품전 《하늘 땅 사람들》(서울시립미술관, 2018), 《포스트 인스티튜셔널 스트레스 장애(Post Institutional Stress Disorder)》(쿤스트홀 오르후스, 오르후스, 2018), 《2017 신소장품전》(부산시립미술관, 부산, 2018), 《데스크 세트》(브레티니 현대미술센터, 브레티니쉬르오르주, 2018), 《페스티벌 망카》(CIRM(니스 국립음악연구소), 니스, 2016), 《아트스펙트럼 2012》(리움 삼성미술관, 서울, 2012) 등 다수의 국내외 기획전과, 아시안 아트 비엔날레 《판타스마폴리스》(국립대만미술관, 타이중, 2021), 부산비엔날레 《열 장의 이야기와 다섯 편의 시》(부산, 2020), 광주비엔날레 《상상된 경계들》(광주비엔날레전시관, 광주, 2018), 베니스비엔날레 《모든 세계의 미래》(알세날레, 베니스, 2015) 등의 비엔날레에 참여했다.

김아영의 영상 작품은 베를린 Sci-fi 영화제 (베를린, 2021), 자카르타 국제 다큐멘터리 실험영화제, (자카르타, 2021), 쾰른단편영화제 (필름포럼, 루드비히 뮤지움, 쾰른, 2021), 제22회 및 21회 전주국제영화제(전주, 2021, 2020), 제10회 부카레스트 국제실험영화제(부카레스트, 2020), 제21회 샌디에이고 아시안영화제 (샌디에이고, 2020), 제22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서울, 2020), 제3회 및 1회《샤르자 필름 플랫폼》, (샤르자, 2020, 2018) 등에서 상영됐으며, 작가는 《임팩트 페스티벌 2020: 제로 풋프린트》(우트레히트 네덜란드, 2020), 〈페트라 제네트릭스를 찾아서〉(MMCA 서울관, 2020), 〈사기 지질학〉(MMCA 과천관, 2016), 〈이 배가 우리를 지켜주리라〉(팔레 가르니에 국립 오페라극장 파리, 2016) 등 세계 유수의 기관에서 퍼포먼스도 펼쳤다.

제7회 춘천SF영화제 대상 (2020),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2015)를 수상했고, 올해의 작가상 최종후보 (2019)에 올랐다. 영국 로얄 아카데미 오브 아트에서 브리티쉬 인스티튜션 어워드 (2010)를 수상했다. 그의 작품은 카디스트 재단,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부산현대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리움 삼성미술관 등 유수의 기관에 소장되어 있다.

Photo by Min Gyungbok

Share

Selected Works

Exhibitions

Stories

For further information on Ayoung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