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ing is like a private ritual. It brings me back to the idea of reaching a communion with a sense of silence, finding my way within and without it. I have no preconceived idea when I start working. I work and react to what I’ve done. I become comfortable with silence.”
-John Pai
Spanning from the 1960s through the present, John Pai’s active artistic practice could be viewed as a continuing process of evolution whereby the artist connects one fundamental unit to another, and another, facilitating an incremental ritual of accretion where a new whole emerges, one that has been informed by the artist’s exploration of his subconscious, memories, and myriad interdisciplinary interests traversing music, science, Eastern philosophy, and literature. He primarily works with welded steel, a humble yet versatile material, in the form of steel rods that are sometimes coated in copper. Pai has stated that his choice of material and methodology are the outcome of his progressive desire to simplify the process of his work by reducing it to the simplest unit possible, thereby allowing him to “draw in space.” Beginning with one fundamental unit, or cell, Pai’s works develop into undulating, oftentimes complex forms that invoke both a sense of physical movement and the journey of one’s subconscious. Despite the lyricism that the artist’s works may visually suggest, John Pai’s works are the outcome of a laborious welding process that is a fusion of the breath of physical labor and the artist’s spirit. Pai’s works are records of his methodology of seeking abstraction through fundamental and repetitive actions, precise calculations, and perseverance, as well as the chance and intuition that inform his actions and decisions.
Born in 1937 in Seoul, Korea, John Pai was raised in a rural area near Ilsan and later moved to Seoul, where he lived until he moved to the United States in 1949. His family was deeply engaged in the political turmoil of the era. His father, a Presbyterian minister who carried out independence activiti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was in exile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Second World War while the rest of the family remained in Korea. Pai recalls his early years in Ilsan as a period when he spent much of his time alone or with his grandmother, as his mother had warned him not to play with friends due to the risk of exposing his family’s pro-independence activities. Consequently, he remembers days of drawing while surrounded by nature, lying down and gazing at stars, as well as days filled with music--his sister playing the piano, and his mother (who was raised in Russia) singing Russian folk songs. At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the family relocated to the United States. However, with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his father returned to Korea to engage in relief work, and his mother likewise returned to Korea shortly thereafter to help establish a school.
Pai, who was separated from his family in Korea at an early age, went through adolescence in a distinctly Westernized environment, quickly adapting to life in the US. He held his first one-person show at age fifteen at the Oglebay Institute in Wheeling, West Virginia in 1952, and he later enrolled in the industrial design department at Pratt Institute in Brooklyn, New York. As an undergraduate at Pratt, Pai was introduced to the concepts of Constructivism and the Bauhaus, and though he yearned to become a sculptor, the school lacked a fine art department. As a result, the school created a fine art program tailored for Pai, and Pai pursued his master’s degree there as well. In the 1950s and 1960s, numerous modern masters were active in New York, and for Pai, who was then a student and young artist, this exciting era provided fruitful opportunities to immerse himself in the cutting edge of modern art. In the 1960s, when he was in his mid-twenties, he became the youngest professor to be appointed to the faculty at Pratt and became engaged in leading the school’s fine arts and sculpture programs, holding teaching and administrative roles for nearly four decades. He has sought to find a balance in his life between the roles of educator, administrator, and artist while presenting his work in New York, Paris, and Seoul. Pai presently lives and works in Fairfield, Connecticut.
Pai is currently preparing his upcoming (2021) retrospective at the Korean Cultural Center New York for the Center’s inaugural exhibition at its newly constructed building. His solo exhibitions include Gallery Hyundai, Seoul (2013, 2006); Rodin Gallery, Seoul (2003); Sigma Gallery, New York (1997); Souyun Yi Gallery, New York (1990); Gallery Korea, New York (1987); and the Whanki Foundation, New York (1982). His selected group exhibitions include American Abstract Artists 75th Anniversary, OK Harris Works of Art, New York (2011); Floating Hours: Moon is the Oldest Clock, MMCA, Deoksugung, Seoul (2010); Geometry as Image, Robert Miller Gallery, New York (2008); Poetry in Motion, Galerie Beyeler, Basel, Gallery Hyundai, Seoul (2007); Dream and Reality: Korean American Contemporary Art, Smithsonian International Gallery, Washington D.C. (2003); Welded! Sculpture of the 20th Century, Neuberger Museum of Art, Purchase, New York (2000); Asian Traditions/Modern Expressions, Zimmerli Art Museum, New Brunswick, New Jersey, Taipei Gallery, New York (1997); Korean Drawing Now, Brooklyn Museum, New York (1981); and Four Contemporary Sculptors, The Alternative Museum, New York (1977). His works are included in the collections of major institutions such as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Leeum, Samsung Museum of Art, Seoul; Seoul Museum of Art, Seoul; and The Alternative Museum, New York, among others.
Photo by Inez and Vinoodh
----------
“예술작품을 만드는 것은 혼자만이 거행하는 종교적인 의식과 같다. 침묵의 감각으로 영적 교섭을 하며 그 침묵의 안과 밖에서 나의 길을 찾는다. 나는 작업을 시작할 때 사전에 형성된 개념을 갖지 않는다. 그저 작업을 시작하고 내가 작업한 것에 반응할 뿐이다. 그리고는 침묵에 편안해진다.”
- 존 배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존 배의 적극적인 예술적 실천은 예술가가 하나의 기본 단위를 다른 단위, 또 다른 단위로 연결하는 지속적인 진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진화 과정은 작가의 잠재의식, 기억, 그리고 음악, 과학, 동양 철학 및 문학을 횡단하는 학제간 관심사에 대한 탐구에 의한 영향을 포괄하면서, 하나의 새로운 전체가 생성되는 축적의 점진적인 의식을 가능하게 한다. 존 배는 주로 소박하지만 변통성이 있는 재료인 철을 용접하여 작업을 하는데, 이것은 때로 구리로 코팅이 된 철선의 형태를 띤다. 작가는 자신이 선택한 재료와 방법론은 작업 과정을 가장 단순한 단위로 환원하여 ‘공간에서의 드로잉’을 가능하게 하는 점진적 바람을 담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하나의 기본적인 단위나 요소에서 시작하는 존 배의 작업은 굴곡이 있는, 복잡한 형태로 발전하여 신체적 움직임의 감각과 무의식의 여정을 환기한다. 존 배의 작품은 작품이 시각적으로 내포하는 서정성과 달리 고된 용접의 과정을 통해 탄생한 결과물로, 거친 노동의 숨결과 작가의 예술혼이 융합되어 있다. 그의 작업은 단순하고 반복적인 행위, 치밀한 계산과 인내, 그리고 이러한 행위와 태도를 결정짓는 우연과 직관을 통해 하나의 추상성을 발견하는 작가의 사유 방식을 잘 드러내는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존 배는 1937년 서울에서 태어나 일산 인근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고 1949년 미국으로 이주할 때까지 서울에서 살았다. 당시 그의 가족은 시대의 정치적 혼란에 깊이 개입해 있었다. 그의 아버지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했던 목사였으며 2차 세계 대전 때 미국으로 망명을 했고, 다른 가족은 한국에 남아 있었다. 작가는 어린 시절 일산에서 주로 혼자 지내거나 할머니와 함께 보냈다. 그의 어머니는 가족의 신분이 노출될 것을 염려해 외딴곳에 살면서 존 배에게 친구들과 어울리지 말라고 주의를 주곤 했다. 대신 존 배는 자연에 둘러싸여 별을 바라보고 그림을 그렸다. 누나의 피아노 연주를 듣고, 러시아에서 자란 그의 어머니가 불러주는 러시아 민요를 들었다. 그의 어린 시절은 자연과 미술, 그리고 음악으로 가득 찼다. 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존 배의 가족은 미국으로 이주했다. 그러나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아버지는 구호 활동을 위해 귀국했고, 어머니도 학교 설립을 돕기 위해 곧 아버지의 뒤를 따라갔다.
어린 나이 한국의 가족들과 떨어지게 된 존 배는 서구화된 환경에서 사춘기를 겪으며 빠르게 미국 생활에 적응했다. 그는 1952년 웨스트버지니아 주 휠링에 있는 오글베이 연구소에서 15세 때 첫 번째 개인전을 열었고, 이후 뉴욕 프랫인스티튜트의 디자인 학부에 입학했다. 존 배는 이 시기 구성주의와 바우하우스를 접하고 조각가가 되고 싶어 했지만, 당시 프랫에는 순수미술 전공이 없었다. 학교 측은 존 배에게 맞는 순수미술 프로그램을 신설했고 그는 대학원에서 조각을 공부할 수 있었다. 1950-1960년대에는 수많은 현대미술의 거장들이 뉴욕에서 활동했으며 당시 학생이자 젊은 예술가였던 존 배도 이 시기 현대미술의 최전선에서 새로운 미술 조류를 흡수하고 그에 몰입하며 자신만의 예술 방법론을 찾고 있었다. 그는 20대 중반이던 1960년대에 프랫인스티튜트에 최연소 교수로 임명되었으며, 40년 가까이 교수와 행정 역할을 맡아 학교의 미술 및 조각 프로그램을 이끌었다. 그는 뉴욕, 파리, 서울에서 작품을 발표하면서 교육자, 행정가, 예술가의 역할 사이에서 균형을 찾고자 노력했다. 존 배는 현재 코네티컷의 페어필드에서 거주하며 작업 활동을 하고 있다.
존 배는 올해 12월 뉴욕한국문화원 신축 건물의 첫 전시로 열릴 회고전을 준비하고 있다. 2013년과 2016년 갤러리현대, 2003년 서울 로댕갤러리, 1997년 뉴욕 시그마갤러리, 1990년 뉴욕 이수연갤러리, 1987년 뉴욕 갤러리코리아, 1982년 뉴욕 환기재단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또한, 2010년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의 《달은 가장 오래된 시계다》, 2008년 뉴욕 로버트밀러갤러리의 《Geometry as Image》, 2007년 갤러리현대에서 있었던 바이엘러갤러리 순회전 《Poetry in Motion》, 2003년 워싱턴 D.C.의 스미소니언 미술관의 《Dream and Reality: Korean American Contemporary Art》, 2000년 뉴욕 누베르거미술관의 《Welded! Sculpture of the 20th Century》, 1997년 럿거스대학교 짐멀리아트뮤지엄의 《Asian Traditions/Modern Expressions》, 1981년 브루클린미술관의 《Korean Drawing Now》, 1977년 뉴욕 얼터너티브미술관의 《Four Contemporary Sculptors》 등 한국과 미국을 오가며 다양한 기획전에 참여하였다. 존 배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삼성미술관 리움, 서울시립미술관, 뉴욕의 얼터너티브미술관 등 한국 및 미국내 주요 미술관 및 갤러리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