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안내는 하단의 'Read More'를 클릭하세요.
Hyundai Hwarang | Samcheong-ro 8
도상봉 To SangBong, 박생광 Park Saeng-Kwang, 오지호 Oh Chi Ho, 김환기 Kim Whanki, 윤중식 Yoon Jungsik, 박수근 Park Soo-Keun, 이중섭 Lee Jung Seob, 최영림 Choi Youngrim, 박고석 Park Ko-Suk, 장욱진 Chang Ucchin, 황염수 Hwang Yeom Soo, 김흥수 Kim Heungsou, 박래현 Park Rehyun, 이대원 Lee Daiwon, 임직순 Yim Jik Soon, 권옥연 Kwon Ok Yon, 천경자 Chun Kyungja, 문학진 Moon Hakjin, 변종하 Byun Chongha, 김상유 Kim Sangyu, 김형근 Kim Hyung Geun, 김종학 Kim Chong Hak, 류병엽 Ryoo Byung Yup, 황영성 Hwang Young-Sung
Gallery Hyundai | Samcheong-ro 14
곽인식 Quac Insik, 백남준 Nam June Paik, 이승택 Seung-taek Lee, 곽덕준 Kwak Duck-Jun, 김차섭 Tchah-Sup Kim, 임충섭 Choong Sup Lim, 박현기 Park Hyunki, 이건용 Lee Kun-Young, 이강소 Lee Kang So, 성능경 Sung Neung Kyung, 신성희 Shin Sung Hy, 김명희 Kim Myong Hi
Gallery Hyundai proudly presents 55 YEARS: A Legacy of Modern & Contemporary Korean Art to commemorate its 55th anniversary. On the morning of April 4th, 1970, at 10 am, Gallery Hyundai (or Hyundai Hwarang as it was then known) took the very first steps of its journey in Insadong. Since then, the gallery has dedicated itself to showcasing the work of full-time artists, allowing them to focus solely on their creative pursuits while introducing their artistic oeuvres to the public, local and international collectors, corporate patrons, and major institutions worldwide. This year marks the gallery’s 55th year of commitment to this mission. The exhibition reflects on the 55 years of Gallery Hyundai's journey as a found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celebrating the key artists who have become cornerstones of this narrative. Through this exhibition, the gallery invites visitors to explor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Gallery Hyundai and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55 YEARS: A Legacy of Modern & Contemporary Korean Art is divided into two parts, presented at both Hyundai Hwarang (8 Samcheong-ro) and Gallery Hyundai (14 Samcheong-ro). Hyundai Hwarang highlights works by artists who have achieved iconic status in the public consciousness, such as Park Soo-Keun, Lee Jung Seob, and Chun Kyungja. It also features figurative painters who emerged from naturalism and devoted their lives to discovering a uniquely Korean identity. During the 1970s, when Oriental painting dominated the art scene, President Park Myung-ja highlighted Western painting through exhibitions and brought contemporary art to the public and collectors through “Hwarangji,” which was the first art magazine published by a commercial gallery in Korea. This process established a significant chapter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troducing artists deeply cherished by the people.
Gallery Hyundai presents prominent artists from its internal project Reflections on Korean Experimental Art, initiated by HyungTeh Do, the second-generation gallerist and current owner and CEO, who played an active role in shaping the gallery’s programs. It features notable works by diaspora artists with whom HyungTeh Do formed connections during his time in New York. The Experimental artists featured in this exhibition were central figures in Only the Young: Experimental Art in Korea, 1960s–1970s, a touring exhibition spanning 2023 and 2024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Seoul; Guggenheim Museum, New York; and the Hammer Museum, Los Angeles. The artistic dialogue between Korean Experimental artists and diaspora artists resonates with a shared pursuit of distinctive aesthetic languages. Yet, like individual constellations, they each build their own independent worlds, representing a vital legacy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갤러리현대는 개관 55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55주년: 한국 현대미술의 서사》를 개최한다. 1970년 4월 4일 오전 10시, 인사동에 ‘현대화랑’으로 첫발을 내디딘 이후 창작에만 몰두하는 전업 작가들의 전시를 개최하며 그들의 작업 세계를 대중과 국내외 컬렉터, 기업과 세계 유수 기관으로 널리 알리는 데 이바지한 지 올해로 55년 되는 해이다. 이번 전시는 갤러리현대와 함께한, 한국 미술사의 역사가 된 작가들의 주요작들을 소개하며 갤러리현대와 한국 미술사의 지난 55년과 현재, 나아가 미래를 살펴보기 위한 자리이다.
《55주년: 한국 현대미술의 서사》는 갤러리현대 본관(현대화랑, 삼청로 8)과 신관(갤러리현대, 삼청로 14) 전관에 걸쳐 1부와 2부로 선보인다. 1부에서는 갤러리현대 본관 전시를 통해 국민적 화가 반열에 오른 박수근, 이중섭, 천경자를 비롯하여 자연주의 경향에서 출발하여 한국적 정체성을 찾기 위해 일생을 바친 구상회화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한다. 박명자 회장은 동양화가 대세를 이루던 1970년대에 서양화의 비중을 높여가며 전시 기획과 더불어 대중과 컬렉터에게 현대미술을 알리기 위해 한국 상업화랑 최초로 미술 전문 잡지 ‘화랑지’를 발간했다. 이 과정에서 한국 근현대미술사에 주요한 역사로 자리 잡으며 우리나라 대중들의 사랑을 받은 회화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한다. 갤러리현대 신관에서는 2세대 화랑주인 도형태 부회장이 본격적으로 갤러리 프로그램에 관여하며 내부적으로 진행된 ‘한국 실험미술 작가 다시 보기’ 프로젝트를 대표하는 작가들과 도형태 부회장이 뉴욕대학교 재학 시절부터 인연을 맺어온 디아스포라 작가들의 대표작을 선보인다. 전시에서 소개되는 실험미술 작가들은 지난 2023년과 2024년에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과 구겐하임 뉴욕, 로스앤젤레스 해머 미술관으로 순회했던 전시 《한국 실험미술 1960-70년대》의 핵심적인 작가들이다. 한국 실험미술과 디아스포라 작가들의 작품 간의 대화는 개성이 강한 독창적인 미적 언어로 지속 확장되었다는 점에서 닮아 있으면서도 각각의 별자리처럼 독자적인 세계를 구축하는 한국현대미술의 주요한 유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