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hin Sung Hy, Palazzo Caboto in Venice

Exhibition Details

Shin Sung Hy, Palazzo Caboto in Venice
Apr 19 - Jul 7, 2024

Artist

Shin Sung Hy Estate

Connect

mail@galleryhyundai.com press@galleryhyundai.com

*한글 안내는 하단의 'Read More'를 클릭하세요.

Tuesday – Sunday

10:00 – 18:00

Closed on Mondays

 

“We were born as a plane with a dream to be a three dimensional object. 
The structure and thickness of a plane hope to approach for a space.”
Shin Sung Hy,  in “Testimony of Canvas,” 2005

 

Gallery Hyundai presents a solo exhibition of works by Shin Sung Hy (1948–2009) at the historic Palazzo Caboto in Venice from April 19 to July 7, 2024. This is the latest endeavor from Gallery Hyundai’s longstanding project of solo exhibitions throughout the duration of Venice Biennale that showcases representative works by masters of Korean experimental art; previous shows in this project include Seung-taek Lee (2017), Lee Kang-So (2019), and Lee Kun-Yong (2022). Shin Sung Hy presents a selection of 19 works from Shin’s “sewn-canvas” series, couturage, (1993–1997) and “knotted-canvas” series, nouage, (1997–2009), distilling the essence of his practice: the dream of three-dimensionality expressed through a flat canvas. HyungTeh Do, owner and CEO of Gallery Hyundai, notes of the curatorial intention: “After moving to Paris in 1980, Shin Sung Hy spent the next 30 years effectively playing the role of a Parisian home base for all kinds of figures from the Korean art world. As Shin experienced dansaekhwa and Supports/Surfaces—the major artistic movement of Korea and France at the time—his work was unprecedented,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three-dimensional painting on a flat plane. Recently, the singularity of Shin's painterly language was recognized with a solo presentation at Frieze Masters in London in 2023, organized as a mini- retrospective. We are very much looking forward to seeing the response in Venice to his innovative body of work."

Shin dedicated his care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flatness” of canvas, that most absolute, indisputable space for painting, seeking the integration of the two- and three-dimensional realms. Having received much attention and critical acclaim at nationwide competitions such as the Korean Art Grand Award Exhibition—where he won special honors for his 1971 surrealistic trilogy of paintings titled Empty Heart—Shin presented a series of burlap paintings in 1974, featuring realistic renderings of the shadows and fraying strands of coarsely textured burlap sacks in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representation and abstraction, object and painting, and reality and illusion. This marked the genesis of a new kind of painting that appears to share valence with monochrome painting which dominated the 1970s Korean art scene but remains distinct from abstract paintings with their emphasis on spirituality; here, by painting hyperrealistic burlap on actual burlap, Shin achieves a coexistence of the real and the imaginary on the same canvas.

Moving to Paris in 1980, the artist continued along his experimental path toward the “essence of painting,” responding to the diverse aesthetic stimuli from the city. For the next three decades, Shin explored the three-dimensional reality of abstract paintings created by explosive combinations of colors. Rejecting the realm of the illusory, he experimented with introducing physical volume and spatiality to the flat surface of the canvas. Tearing up thick cardboard to make collages or utilizing the pliability of paper by cutting and ripping the material into pieces, he created paradoxical paintings that are simultaneously two- and three-dimensional. Shin continued to expand his artistic vision with works like “collaged paperwork” series, collage, (1983–1992), a series of cardboard collages characterized by their bold, vibrant color, and his “sewn-canvas” series, couturage, (1993– 1997), which involves cutting a painted canvas into uniform strips and sewing them together. Shin continued to build his practice by developing various methodologies to create pioneering paintings in which the painting itself becomes three-dimensional rather than settling for the visual illusion of the elaborately rendered image. Next came the birth of his “knotted-canvas” series, nouage, (1997– 2009), which integrated surface and volume by gathering strips of colored canvas and tying them to a frame or other support structures.

The artist meticulously cuts the vibrantly painted canvases only to stitch them together with a sewing machine or weave and knot them into a weft and warp formation, constructing a three- dimensional “body” of the canvas. These cut strips of canvas cover the front and back of the work like a sculpture, creating a three-dimensional painting that generates shadows within and beyond the canvas. Shin once declared, "My works are painted to be torn apart." He added that this statement was both a question about the art of his time, and his answer as an artist. "Space moves me to give up the plane. It makes me believe that releasing allows to make way for the new. (…) To be bound is to be joined. It is a visual language that unites the dialectic oppositions of you and me, material and spirit, affirmation and negation. Within the volume of space, dots, lines, planes, and solids of colors offer proofs through synthesized thought. This is why I was born in this era: to work in a frame where a plane is a plane and a space is a space." (artist's note, 2001)

Over the span of his 40-year career, Shin had never left the canvas, consistently exploring the continuous space of color that resonates in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spaces. His woven pictorial space, constructed by sewing and weaving, marks a clear step forward from the painterly heritage of 20th century artists. Shin's paintings are both deeply Korean and boldly Western. The colors expand into space and the skeletal structure constructed by sewing and weaving firmly constitutes a plane—to keep the painting alive and help elements coexist. As such, the art historian Jeon Young- baek considers this coexistence to be the most original aesthetic of Shin's artistic language.

“우리는 입체가 되고자 하는 꿈을 갖고 평면에서 태어났다.
평면의 조직과 두께는 공간을 향해 나아가기를 희망하였다.” 
– 신성희, 작가 노트 『캔버스의 증언』(2005)

갤러리현대는 신성희(1948-2009)의 개인전을 4월 19일부터 7월 7일까지 이탈리아 베니스에 있는 유서 깊은 건물인 팔라초 카보토(Palazzo Caboto)에서 개최한다. 그간의 베니스 비엔날레 기간 동안 이승택(2017), 이강소(2019), 이건용(2022) 등 한국 현대실험미술사의 거장들의 대표작을 엄선해 개인전을 마련해 온 갤러리현대의 장기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신성희》 전은 평면 화면에서 입체를 꿈꾼 신성희 작품세계의 정수가 담긴 〈박음 회화(꾸띠하주)〉 연작(1993-1997)과 〈엮음 회화(누아주)〉 연작(1997-2009) 19점을 엄선하여 소개한다. 갤러리현대 도형태 대표는 “신성희는 1980년에 파리로 거처를 옮겨 30년을 살면서 한국의 미술계 인사들의 ‘파리 사랑방’ 역할을 톡톡히 했다. 두 나라 미술계의 주요 흐름이었던 단색화와 쉬포르쉬르파스 작가들의 작품을 가까이에서 경험하며 평면의 화면에서 입체 회화에 대한 고민을 탐구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독보적인 작가이다. 신성희의 독창적 회화 언어는 2023년 런던 프리즈 마스터즈에서 미니 회고전 형태의 솔로 부스를 선보이고 큰 호평을 받은 바 있다. 신성희의 혁신적 회화 세계에 대한 베니스에서의 반응도 매우 기대된다.”라고 기획 의도를 밝혔다.

신성희는 평생 회화의 절대적 공간인 캔버스의 ‘평면성’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평면과 입체의 일체를 모색했다. 1971년 초현실주의 화풍의 〈공심(空心)〉 3부작으로 한국미술대상전에서 특별상을 받고, 한국아방가르드협회(AG) 작가로 왕성한 활동을 펼치며 두각을 드러낸 그는 1974년 일명 ‘마대’ 회화 연작을 발표한다. 작가는 거친 질감의 마대에 마대의 풀린 올과 그림자를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이 연작을 통해 재현과 추상, 대상과 회화, 사실과 허상의 관계를 탐색했다. 1970년대 한국 미술계를 호령했던 모노크롬 계열의 화면을 추구하는 듯하면서도 정신성이 강조된 추상 회화가 아닌 극사실적으로 실재의 마대에 마대를 그리며 실재와 허상이 한 화면에 공존하는 새로운 회화를 탄생시킨 것이다. 

1980년 파리로 활동 무대를 옮긴 작가는 파리에서 받은 다양한 미학적 자극에 반응하며 '회화의 본질’에 다가가는 실험적 행보를 지속했다. 이후 그는 30여 년간 폭발하는 색채의 조합이 만들어 내는 추상회화의 삼차원적 실재를 탐구했다. 그는 허상의 회화를 거부하며 평면의 화면에 물리적으로 실재하는 입체감과 공간감을 도입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두툼한 판지를 찢어 콜라주 하거나 종이의 무른 성질을 활용해 일부를 자르고 뜯음으로써 평면이면서 동시에 입체가 되는 역설의 회화를 제작한다. 채색한 판지를 찢어 화면에 콜라주하고 과감한 색채를 도입한 〈구조 공간(콜라주)〉 연작(1983-1992), 채색한 캔버스를 일정한 크기의 띠로 재단하고 그것을 박음질로 이은 〈박음 회화(꾸띠하주)〉 연작(1993-1997) 등으로 이어진다. 신성희는 정교하게 그려 만든 허상의 눈속임이 아닌 회화 스스로 입체가 되는 파격적 회화를 다양한 방법론으로 연구하며 창작을 이어갔다. 그리고 마침내 잘라낸 캔버스 색 띠를 틀이나 지지체에 묶어 평면과 입체의 통합을 이룬 〈엮음 회화(누아주)〉 연작(1997-2009)이 탄생한다. 

작가는 화려한 색채로 채색한 캔버스를 정교하게 잘라낸 뒤 재봉틀로 박음질하거나 씨줄과 날줄을 직조하듯 엮고 매어 입체적인 캔버스의 ‘몸’을 구축한다. 잘려진 캔버스 띠들이 조각처럼 작품의 전면과 후면을 아우르고 화면 안팎으로 그림자를 생성해 내는 입체적인 회화를 완성한다. 생전 작가는 “나의 작품은 찢어지기 위하여 그려진다”라고 선언한 바 있다. 그는 이것이 시대의 예술에 대한 질문이며, 작가로서의 답변이라고 덧붙였다. “공간은 나로 하여금 평면을 포기하게 한다. 포기해야 새로워진다는 것을 믿게 한다. (…) 묶여진다는 것은 결합이다. 너와 나, 물질과 정신, 긍정과 부정, 변증의 대립을 통합하는 시각적 언어이다. 색의 점, 선, 면, 입체가 공간의 부피 안에서 종합된 사고로 증명하는 작업. 평면은 평면답고, 공간은 공간다운 화면에서 일하기 위하여, 나는 이 시대에 태어났다.” (작가 노트, 2001)

신성희가 40년 화업 동안 캔버스를 떠나지 않으면서 일관되게 탐구한 것은 세로와 가로의 공간에 공명하는 색채의 연속적 공간이다. 박음과 엮음으로 완성되는 직조된 회화 공간은 20세기 미술가들의 회화적 유산의 바탕에서 한 걸음 나아간다. 신성희의 그림은 지극히 한국적이면서도 또 과감하게 서구적이다. 색채는 색채대로 공간으로 확장되며, 박음질과 엮음으로 조성된 뼈대 구조는 그것대로 확고하게 화면을 구성한다. 둘 다 살리면서 공존할 수 있게 하는 것. 이 공존이 신성희의 회화 언어가 제시하는 가장 독창적 미학이라고 미술사학자 전영백은 평가한다. 

Share

Selected Works

Installation Views

S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