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안내는 하단의 'Read More'를 클릭하세요.
A leading mid-career artist in the Korean art scene, Chung Zuyoung is widely known as the “artist of mountains” — since the mid-1990s through the present, she has been portraying mountain landscapes on canvas. Mountains constitute a common thread in the genre of painting from landscape paintings in the West to shanshui (山水畵) painting in East Asia. For Chung Zuyoung, they are the ideal material for testing different methodologies of painting. The artist initially worked on large canvas, borrowing parts from 18th Century Korean artists Jeong Seon and Gim Hongdo’s landscape paintings. Afterwards, she shifted to taking mountains in Korea and abroad as her subject, including Mountains Bukhan, Inwang, and Dobong as well as the Alps, transporting facets of mountains, peaks, and boulders onto canvas. In her series, mountains function as a medium to reveal epistemological frameworks we project on landscapes or the cultural-historical ideas underlying their background. On the mountain series, the artist states: “They are portraits of landscapes that, transcending concept and abstraction, pulls the roots of our perception into particular, primeval dimensions of sense and experience.” As such, Chung Zuyoung’s mountain landscapes are noted for their suggestion of a realm of painting inhabiting the double “gap” between true view and actual view, concept and reality, abstraction and figuration.
At the beginning of Meteorologica lies the Alps series. In 2006, the artist had an opportunity to explore a terrain of huge, jagged limestone peaks and everglades, which provided photographic material and personal memory to produce the Alps series starting in 2018. There, she captures subtle formations born from seismic shifts and erosion, and rocks that take a reddish hue from magnesium, calcium, and iron. With archetypical mountain sceneries reminiscent of human body parts like faces, hands, or legs, she leads viewers to a shift in perception and sensation and to furthermore reflect their inner lives. Majestic, romanticist skies in particular flow naturally into the new M series that focuses on meteorology. Chung Zuyoung first became interested in the sky as a marker of season and time as she was preparing the Alps series. As the COVID-19 pandemic lengthened on, the artist started encountering heightened tension surrounding elements of change, which led to a perceptual shift: to expand pictorial space from mountain and boulders towards the sky and to simultaneously “shift pictorial methodology from the representable to what cannot be represented, from the knowable to unknowable.” (from artist’s note)
In the M series, the artist’s line of sight reaches beyond the mountains into the sky. The sky, clouds, sunrise, sunset, and other transient states of nature are captured on canvas. The almost infinite, borderless space of the sky is a site that assures both desires and the spiritual sublimity of humanity, while clouds are chaotic objects adrift between signifier and signified, phenomena and symbols, suggesting mystery and infinity. These faint landscapes carry no real substance yet assuredly unfold in front of our eyes by the virtue of Chung Zuyoung’s signature combination of painterly and linear brushwork. Sceneries of the sky that shift ceaselessly as they take abstract and geometric forms are visualized as varied, dreamlike gradations built from layers of countless colors. In this, M metaphorizes nature at large and the fate of human life caught in an eternal cycle, unable to be fixed in either emotions or feelings, joy or sorrow, life or death, and stimulates the imaginative power within each viewer. The title “Meteorologica” derives from Aristotle’s book Meteorologica that describes through natural philosophy observations of meteorological phenomena involving air, water, and earth. On the other hand, the series M takes its title from the initial of Meteorology and each piece within is given a serial number by the order of production.
Meteorologica thus testifies to Chung Zuyoung’s efforts to widen pictorial space from mountains and boulders to water and fog, then towards clouds and skies. The artist paints an irreproducible “meteorology” that shifts ceaselessly even upon fixed objects, offering new pathways for transforming “painting.” Chung Zuyoung’s landscape series beckons many of us who are accustomed to peering into smartphones and computer monitors to look up at the ineffable space that is the sky, granting us contemplative opportunity to penetrate the archetypes of landscapes.
정주영은 한국 미술계를 이끄는 중견 화가로 ‘산의 작가’로 통한다. 1990년대 중반부터 최근까지, 작가는 산의 풍경을 캔버스로 옮겨 그렸다. ‘산’은 서양회화에서 풍경화, 동양회화에서는 산수화로 불리는 장르의 대표적인 공통 화제(畵題) 중 하나로, 정주영에게 풍경화는 회화의 방법론을 실험하기 가장 좋은 소재이다. 작가는 단원 김홍도나 겸재 정선의 산수화 일부를 차용해 대형 캔버스로 옮기는 작업을 시작으로 북한산, 인왕산, 도봉산, 그리고 알프스 등의 국내외 산을 테마로 삼고 산의 일부나 봉우리, 바위의 면면을 캔버스에 담았다. 그는 산을 매개로 한 일련의 연작을 통해 풍경에 관한 인식론적 투사나 그 배경에 관한 문화사적 사고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산 연작에 관해 작가는, “관념과 추상을 넘어선 감각과 체험의 구체적이며 원초적인 차원으로 우리 인식의 뿌리를 잡아 이끄는 풍경의 초상”이라 설명한다. 정주영이 그려낸 산-풍경은 진경과 실경, 관념과 실재, 추상과 구상 사이에 놓인 이중적인 ‘틈’ 회화의 세계를 제시한다고 평가받는다.
《그림의 기후》전의 출발점에는 <알프스> 연작이 놓인다. 작가는 석회암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뾰족한 봉우리들과 빙하가 어우러진 일대를 2006년 답사할 기회가 있었고, 그때 촬영한 사진 자료와 자신의 기억을 기반으로 2018년부터 <알프스> 연작을 제작하고 있다. 그는 지각변동과 침식작용 끝에 생겨난 절묘한 형상과 마그네슘, 칼슘, 철 등이 함유되어 있어 붉은색을 띠는 암석을 그리며, 산의 원형적 풍경을 사람의 얼굴과 손, 다리 등 신체의 일부를 연상하게 하여 보는 이에게 인식과 감각의 전환, 나아가 내면을 투영하도록 안내한다. 알프스에서 마주한 웅대하고 낭만주의적인 하늘 풍경은 ‘기상학’을 주제로 새롭게 선보이는 <M> 연작과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정주영은 <알프스> 연작을 준비하며 계절과 시간을 나타내는 하늘에 처음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코로나 팬데믹이 장기화하면서 작가에게 변화의 상태가 더 긴박하게 다가왔고, 예상치 못한 사고의 전환을 갖게 되었다. 산과 바위에서 하늘로 회화의 공간을 확장하고 동시에 “재현할 수 있는 것에서 재현할 수 없는 것으로, 알 수 있는 것에서 알 수 없는 것으로 회화적 방법론이 이행해갔던 것”(작가 노트)이다.
<M> 연작에서 작가의 시선은 산 너머의 하늘이라는 공간으로 확장된다. 하늘, 구름, 일출, 일몰 등 고정불가능한 자연의 상태가 캔버스에 포착된다. 하늘의 경계 없는 무한에 가까운 공간은 인간의 어떤 욕망이나 영적 숭고함을 담보하는 장소이며, 구름은 기의와 기표, 실체와 기호 사이에서 표류하는 혼돈의 대상이자 신비와 무한에 대한 표현이다. 실체가 없지만 우리 눈앞에 분명히 펼쳐지는 이 흐릿한 풍경들은 정주영 특유의 회화적인 동시에 선묘적인 필법으로 드러난다. 계속 형태를 바꾸는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인 형태를 띠는 하늘의 풍경들은 수많은 색의 레이어가 쌓인 다채롭고 몽환적인 색채의 그러데이션으로 재현된다. <M> 연작은 감정과 기분, 행복과 슬픔, 생과 사 등 고정될 수 없고 영원히 순환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삶과 대자연을 은유하며 감상자 내면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전시의 부제인 ‘Meteorologica’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공기와 물, 땅에 관한 여러 기후 현상들을 관찰하고 이를 자연철학적으로 기술한 책 <기상학(Meteorology)>의 이름에서 가져왔으며, 연작의 제목은 기상학(Meteorology)의 이니셜 M을 사용해 작가가 그린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한 것이다.
《그림의 기후》을 통해 우리는 정주영 작가가 산과 바위에서 물과 안개, 구름과 하늘의 영역으로 회화의 공간을 확장해 나간 시도를 확인할 수 있다. 작가는 고정된 대상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재현 불가능한 ‘기후’를 그리며 ‘그림’의 새로운 변화 가능성을 제시한다. 정주영의 풍경 연작은 스마트폰과 컴퓨터 모니터를 바라보는 것이 일상인 동시대 수많은 사람에게 다시금 불가해한 하늘의 공간을 보게 함으로써, 가장 원형적인 풍경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명상적인 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
Further Information Inquiries
mail@galleryhyundai.com
Press Inquiries
Press@galleryhyundai.com
Minsoo Kim ms.kim@galleryhyunda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