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안내는 하단의 'Read More'를 클릭하세요.
“Leaving the marks of binding physical forces has been a useful strategy for me as someone who likes to use tricks for reversals. Ironically, the act of binding seems to have drawn me deeper into the artistic process as it creates optical illusions with my material’s physical qualities and creates the fantasy of movement.” – Seung-taek Lee
Gallery Hyundai presents (Un)Bound, an exhibition of the work of Seung-taek Lee, from May 25 to July 3. In its conception, the focus of (Un)Bound was on Lee’s series of “binding” works, in which twine and rope appear as a key media physically visualizing his concepts; various other works in which twine itself does not feature, but the marks of binding can be seen; and his “unbound” canvas-based work, in which the binding concept is expressed more freely.
During the late 1950s, Seung-taek Lee began sharing work of an avant-garde nature, departing from the modern Western concept of sculpture to present work originating in a “non-sculpture” concept. Instead of the traditional sculptural materials, he experimented with the boundaries of sculpture by using everyday materials and objects such as earthenware, “Godret stones,” twines, plastic, boards, paper, and books. “Binding” series represents his world “non-sculpture”. The binding series in particular is something that set Lee apart from other artists of his era, representing a key aesthetic methodology for his pursuit of “non-sculpture,” or the inversion of objects’ form and nature and the subversion of everyday familiarity. He forwent methods of sculpting or shaping to present everyday objects that are literally bound or that bear the marks of binding.
On the first floor, the gallery presents prominent work from series in which Lee used rope—a key material in his binding series—as a way of “visualizing contradiction”: his Paper Print, Tied Porcelain, Tied Canvas, and Rope Painting. The second floor gallery offers a look at the endless variations of Lee’s binding series, which incorporate old books, stones, and ceramics. In a setting designed to resemble an artist’s studio where many artworks have been assembled, viewers can see the fascinating ways in which Lee’s work constantly transforms even as it is connected together by form and context. Bound works with clearly visible rope marks and Tied Canvas works in which the artist has simply bound a canvas itself give way to other approaches in which canvases are tied with other materials such as human hair. The works presented in Gallery Hyundai’s basement-level gallery include the Godret Stone pieces (1957/1960s) that represented the starting point for Lee’s “non-sculpture,” as well as his large-scale Oji (traditional earthenware) pieces that apply the binding approach. The key point in the space lies in the distances between our eyes and brain as we encounter artwork that appears pliable, irrespective of the properties of the actual material.
The exhibition offers a glimpse at Seung-taek Lee’s ambitious vision as someone who sought to open up new horizons in Korean contemporary art during the 1960s and 1970s through his approach of “inversively” seeing the world, thinking, and living through art.
“묶은 물리적인 힘의 자국을 남기는 일은 반전의 트릭을 즐겨 쓰는 내게 유용한 전략이었죠. 아이러니하게도 ‘묶기’라는 행위는 재료의 물성에 대한 착시를 일으키며 생명력에 대한 환영을 불러오는 효과로 연결되어 점점 더 이 작업 과정에 몰두하게 된 것 같습니다.” – 이승택
갤러리현대는 이승택의 개인전 《(Un)Bound[(언)바운드]》를 5월 25일부터 7월 3일까지 개최한다.《(Un)Bound》는 작가의 개념을 물질적으로 시각화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노끈이 주요 매체로 등장하는 “묶기(bind)” 연작, 노끈이 직접적으로 등장하지 않지만 매어진 흔적을 간직한 다채로운 작품, 묶기의 개념이 한없이 자유로워진(unbound) 캔버스 작품에 집중해서 기획되었다.
이승택은 1950년대 후반부터 서구의 근대적 조각 개념에서 벗어나 ‘비조각’이라는 개념에서 출발한 전위적인 작품을 발표했다. 그는 전통적인 조각의 재료 대신 옹기, 고드랫돌, 노끈, 비닐, 각목, 한지, 책 등 일상의 재료나 물건을 활용하여 조각의 경계를 실험해왔다. ‘묶기’ 시리즈는 ‘비조각’의 세계를 대표한다. ‘묶기’ 시리즈는 사물의 형태와 본성을 뒤집고 낯익은 일상을 전복시키는 ‘비조각’을 향한 작가의 주요한 미적 방법론이었으며, 이는 당대 다른 작가들과 차별되는 지점이다. 작가는 소조하거나 조각하는 방식을 벗어나 일상의 사물을 묶거나 혹은 매어진 흔적을 간직한 오브제 형식으로 마무리했다.
1층 전시장은 묶음 연작의 핵심 재료로써 ‘역설의 시각화’를 담당하는 노끈을 활용한 <종이 판화>, <매어진 백자>, <매어진 캔버스>, <노끈 캔버스> 시리즈의 대표작들로 구성된다. 2층 전시장에서는 고서와 돌, 도자기를 오가는 ‘묶음’ 시리즈의 끝없는 변주를 확인한다. 관람객은 수많은 작품이 집적된 작가의 작업실을 닮은 모습으로 연출된 공간에서 형식과 맥락이 서로 이어지되 끊임없이 변화하는 작품의 흥미로운 양상을 조망할 수 있다. 노끈에 매인 흔적을 선명하게 드러내는 ‘묶기’ 작업과 노끈으로 캔버스를 단순히 둘러 매는 <매어진 캔버스>는 이내 노끈이 아닌 머리카락 등 다른 재료에 매인 캔버스 작업으로 이어진다. 지하 전시장은 ‘비조각’의 출발점이 되는 작품 <고드랫돌>(1957/1960년대)과 ‘묶기’ 어법이 적용된 대형 스케일의 작업 <오지> 등이 전시된다. 이 공간의 관전 포인트는 재료의 본래의 성질과 상관없이 물렁물렁해 보이는 작업들을 마주하는 우리의 눈과 뇌 사이의 거리다.
이번 전시를 통해 1960-70년대 시대 상황 속에서 미술로 세상을 거꾸로 보고, 거꾸로 사고하고, 거꾸로 살아내며 한국 현대미술의 새 지평을 열고자 했던 이승택 작가의 야심 찬 비전을 엿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