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hoi Minhwa

Choi Minhwa

Download

Connect

Widely considered a representative artist of the politically tinged Korean Minjung art movement, Choi Minhwa’s artistic world finds apt expression in his chosen moniker, “Minhwa.” In 1982, the artist renounced his birth name of Choi Cheol-hwan and has since been working under the sobriquet Choi Minhwa (崔民花) which means “the people are flowers.” As befits such a name, the main subject of Choi’s works has long been “the people,” the ordinary individuals who live day to day in a given era. He takes the irrational realities and existential agonies directly resulting from the cycles of modern Korean history and captures them in his work using the classic genres of figure and history painting.

In his Vagrancy series (1967-1988), the artist used vivid color and expressionistic brushstrokes to communicate the breathlessly accelerated rate of modernization being pursued under the mantra of “a better life” that left no place in mainstream society for the vagrant figure. In the Pink series (1989-1999), a crowd of figures emerge from a field dominated by pink, inviting contemplation of the human condition existing at the crossroads between the failure and success of the movement to resist governmental suppression of human freedom. In a similar vein, his June (1992-1996) series records the historic and tumultuous struggle for democracy in the form of a large scale geolgae (hanging) painting. In the Youth - Gray series (2005-2006), the artist, then in his fifties, documents the lonely, alienated wanderings of young people in the city, ghostly and gray. 

In the mid-1980s, Choi traveled to various places like Thailand and India, where he felt the absence of emblematic images worthy of the traditional Korean epic stories. In the 1990s, as he was completing the Pink series, he began production of Once Upon a Time, an entirely new series that summoned onto canvas the space-time of the archaic past of the Korean peninsula. A part of the series was introduced in 2003 at a solo show held at Alternative Space Pool. With the debut of his series Notes for Joseon Sanggosa (2003), Choi revealed to the world the grand, almost foolhardy scope of his latest undertaking which was to use the creative perspective of an artist rather than a historian, free to let the imagination roam, and turn the ancient tales into material for a Korean “iconography.” For Notes from Joseon Sanggosa the artist painted figures from the ancient Korean history and legends such as Ungnyeo (Bear Woman) and Haemosu (son of the Sun God). He also paintinged characters from lyrical epics such as Gongmudohaga and Seodongyo over mass-produced images like movie posters, advertisement flyers, and blown-up copies of existing photographs. This possessive and transformative methodology was expanded in ensuing series such as Twentieth Century (2006-2007) and Remembrance of Twentieth Century Paintings (2008-2009). In his Twentieth Century series, the artist took famous press images that captured key moments of massacres across the world throughout the 20th century (e.g. 1937’s Nanjing Massacre to 1980’s Gwangju Uprising), printed them in magenta tones and layered oil paints onto them. Remembrance of Twentieth Century Paintings is a series that pays tribute to pop culture icons of the twentieth century, from Picasso, Bacon, Dali to Warhol, reproducing the signature style of each of these representative artists in exquisite detail in pieces of playful repetition. Entering the 21st century, Choi deployed genres like portraiture, history painting, and landscape, deepening inherited traditions of figurative painting, while simultaneously using icons borrowed from a wide range of art history and popular culture to carry out experiments in meta painting. Concurrently, he was developing rough sketches for Once Upon a Time before moving the series onto canvas works in 2010 in earnest. Subsequently, a portion of the Once Upon a Time series was exhibited under the title Joseon, Very Much Joseon, in the retrospective exhibition A Thousand Detours held at the Daegu Art Museum in 2018 commemorating Choi’s receipt of the prestigious Leeinsung rt Prize. The current solo exhibition at Gallery Hyundai reveals the true nature of all its major works.

Taking as its main subject the tales of ancient Korea, the Once Upon a Time series allows Choi the opportunity to present nothing less than a new iconography that unlocks the limitless expansion of the Korean humanistic imagination. Choi emphasizes that the work of properly reading, knowing, feeling, and seeing the ancient world can only be done after one breaks free of the constricting national, cultural, racial, and religious boundaries that undergird the modern — and western — concept of history. Moreover, he explains the intention and goal of the project as building an intimate connection between our daily lives and the rich symbolic forms of antiquity, the profound cultural inheritances in the pictorial language of the time.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the compiled history spanning Gojoseon to the Later Three Kingdoms collected by the Late Goryeo monk Il-Yeon, forms the narrative framework of the Once Upon a Time series. Special attention is paid to the stories of strong emotion with universal appeal that include: the founding myths of the Gojoseon, Goguryeo, Baekjae, Silla, and Gaya Kingdoms; the moving drama of the birth, trials, growth and success of heroes who built the nation and saved its people; the customs, culture and livelihood of a bygone age when the days themselves were a jumble of life and death, sainthood and vulgarity, agriculture and nomadism. Using the characters that populate Samguk Yusa, so familiar to those of us who have heard and read these tales yet still unvisualized, the artist carries out pictorial experiments toward an iconographic rebirth. Much like Choi’s choice of “the ancient” as the space-time for this series, the combination, variation, placement, and creation of images that break down boundaries between East and West, past and present becomes a methodology all its own.

Choi Minhwa was born in 1954 in the Tongui-dong, Jongno-gu, Seoul. During his time as a student at Shin-il Middle School he was active in literary clubs and art clubs, drawing satirical cartoons for the school paper and trying his hand at oil paint for the first time. An immensely talented artist from childhood, he entered the Fine Art and Education department of Hongik University (with a concentration in Western Painting) immediately upon his graduation from Shin-il High School in 1974. In 1976 he began his first series of paintings, Vagrancy, with a self-portrait. In 1980, he submitted a piece titled The Citizen to the Seoul Contemporary Art Festival, but the three-dimensional depiction of the 1980 Gwangju Uprising was forcibly confiscated by the Korean CIA. In 1981, Choi began his travels spending fourteen months in both America and Mexico. All through the 1980s, Choi was an active participant in the Minjung Art movement, and after the June Democratic Uprising in 1987, he produced With Your Open Eyes, a massive, 7 meter geolgae (hanging) painting in honor of Lee Han-Yeol, the Yonsei University student who lost his life during the student demonstrations. That same year, Choi returned to a fine-art practice as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 took power in the wake of the uprising, completing the series Vagrancy (1967-1988) and exhibiting the series Pink (1989-1999). Meanwhile, 1994 saw the opening in Insadong of “21st Century Gallery,” a gallery in the style of an alternative space. Entering the 2000s, Choi exhibited multiple major series on the theme of reexamining history, including Notes for Joseon Sanggosa (2003-), Youth – Gray (2005-2006), and Twentieth Century (2006-2007). Now, in 2020, the artist presents a new series, twenty years in the making with a solo show at Gallery Hyundai: Once Upon a Time.

He has also had solo exhibitions at the Daegu Art Museum (2018), Hapjungjigu (2016), Alternative Space Loop (2017), Arko Gallery (2007), and Alternative Space Pool (2003). Choi’s works have also been included in numerous special exhibitions, including From Vietnam to Berlin (Asian Culture Center, Gwangju, 2018), Sema Gold 2012: Hidden Track (Seoul Art Museum, Seoul, 2012), Elastic Taboos (Kunsthalle Wien, Austria, 2007), The People’s Pain: Realism in Korean Art 1945-2005 (Niigata Bandaijima Art Museum, Japan, 2007), the 6th Gwangju Biennale: Fever Variations (Gwangju Biennale Exhibition Hall, Gwangju, 2006), Puberty Symptoms (Rodin Gallery, Seoul, 2006), and Battle of Visions (Kunsthalle Darmstadt, Germany, 2005). Choi Minhwa’s works are part of the permanent collection at Korea’s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he Seoul Museum of Art, the Daegu Art Museum, the Ilmin Museum of Art, and Samsung’s Leeum Museum of Art, among others. In 2017, Choi received the 18th Annual Leeinsung Art Prize.

한국 현대미술사의 민중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로도 잘 알려진 최민화의 작품 세계는 ‘민화’라는 그의 이름에서 잘 드러난다. 그는 1982년부터 본명 최철환 대신 ‘민중은 꽃이다’라는 의미를 지닌 ‘최민화(崔民花)’라는 예명으로 작가로서 활동해 왔다. 그 이름처럼, 최민화의 작품 속 주인공은 언제나 ‘민중’, 즉 이 시대를 하루하루 사는 평범한 사람들이었다. 작가는 굴곡진 한국 현대사의 흐름에 내던져진 그들이 처한 부조리한 현실과 실존적 고민을, 인물화나 역사화라는 가장 오랜 회화의 장르로 캔버스에 포착했다. ‘잘살아 보자’는 구호 아래 숨 가쁘게 진행된 근대화로 인해 주류 사회에서 소외된 ‘부랑자’의 모습을 강렬한 색채와 표현주의적 붓질로 담은 <부랑>(1976-1988) 연작, 분홍색이 지배적인 화면 속 군상의 모습을 통해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공권력을 향한 저항과 운동의 승리냐 실패냐의 기로에 놓인 인간의 조건을 성찰한 <분홍>(1989-1999) 연작, 민주화 투쟁의 뜨거웠던 역사적 현장을 대형 걸개그림으로 기록한 <유월>(1992-1996) 연작, 50대가 된 작가가 동시대를 함께 사는 청춘들이 도시를 방황하며 배회하는 유령 같은 모습을 회색빛이 강조된 쓸쓸한 분위기의 화면에 그린 <회색 청춘>(2005-2006) 연작이 이에 해당한다.

<부랑>, <분홍>, <유월>, <회색 청춘> 등 문제적 연작을 이어가던 최민화는 1980년대 중반부터 태국과 인도 등지를 여행하기 시작했고, 한국의 전통적 서사와 그에 걸맞는 상징적 이미지의 부재를 절감한다. 그는 <분홍> 연작을 마무리하던 1990년대 말부터 『삼국유사』를 바탕으로 한반도의 고대 시공간을 캔버스로 소환하는 새로운 연작 <Once Upon a Time>의 제작에 착수한다. 이 연작의 일면이 2003년 대안공간 풀(현 아트스페이스 풀)에서 열린 개인전에서 처음 공개됐다. 그는 <조선 상고사 메모>(2003-) 연작을 발표하며, 역자학자가 아닌 상상력을 맘껏 발휘할 수 있는 화가의 창조적 관점에서 머나먼 옛이야기를 한국적 ‘도상’으로 만드는, 방대하며 무모할 정도로 야심에 가득 찬 작업에 돌입했음을 세상에 알렸다. 작가는 <조선 상고사 메모> 연작에서 영화 홍보용 브로마이드나 상품 광고 포스터, 다른 사진가의 확대 복사한 사진 등 대량 생산된 이미지 위에 유화 물감으로 한국 상고사에 등장하는 웅녀와 해모수, <공무도하가>와 <서동요>의 주인공 등을 그려 놓았다. 

이러한 이미지의 전유하고 변용하는 포스트모던적 방법론은 <20세기>(2006-2007) 연작, <20세기 회화의 추억>(2008-2009) 연작 등으로 확장됐다. <20세기> 연작에서는 1937년 난징 대학살부터 1980년 광주 학살 현장까지, 20세기에 세계 곳곳에서 자행된 대량 학살의 ‘결정적 순간’을 포착한 유명 보도사진을 마젠타 계열로 실사 출력하고 그 위에 유화 물감으로 색을 덧입혔다. <20세기 회화의 추억> 연작에서는 20세기 대중문화의 아이콘이라 할 만큼 친숙한 영화 속 배우들의 이미지를 피카소, 베이컨, 달리, 워홀 등 20세기 미술사를 대표하는 화가들의 시그니처 스타일을 정교하게 반복하는 유희적 그림 그리기를 시도했다. 21세기에 들어, 최민화는 인물화, 역사화, 풍경화 등의 장르로 구상회화의 전통을 계승하고 심화하는 한편, 미술사와 대중문화에서 차용한 도상을 폭넓게 활용하며 메타 회화적 실험을 진행해 갔다. 그런 와중에도 <Once Upon a Time> 연작의 밑그림을 하나둘 발전시켰고, 2010년 이후 본격적으로 이 연작을 캔버스에 옮기기 시작했다. 이후 <Once Upon a Time> 연작의 일부가 2018년 이인성미술상 수상을 기념해 대구미술관에서 열린 회고전 《천 개의 우회》에서 <조선적인 너무나 조선적인>이라는 타이틀로 처음 선보였고, 갤러리현대의 이번 개인전에서 주요 작품의 실체가 비로소 공개된다.

최민화는 한국의 고대 이야기를 소재로 한 <Once Upon a Time> 연작을 통해, 한국인의 인문적 상상력의 영토를 무한 확장하는 새로운 타입의 도상을 제시한다. 작가는 고대를 제대로 읽고, 알고, 느끼고, 보기 위해서는 국경과 민족, 인종과 종교 등을 엄격히 구분 짓는 서구의 근대적 역사 개념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한다. 덧붙여, 고대의 풍요로운 상징 형식과 심오한 문화적 유산들을 당대의 회화적 언어, 나아가 우리의 일상과 긴밀하게 연결 짓는 일이 이번 연작의 목표이자 제작 의도라고 설명한다. 그는 고려 후기 승려 일연이 고조선에서부터 후삼국까지의 유사(遺事)를 모아 편찬한 역사서 『삼국유사』를 <Once Upon a Time> 연작의 서사적 뼈대로 삼았다. 역사서에 담긴 고조선,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등의 건국 신화, 그렇게 나라를 일으키고 백성을 먹여 살린 영웅의 탄생과 고난, 성장과 성공의 감동적 드라마, 생(生)과 사(死), 성(聖)과 속(俗), 농경과 유목의 삶이 혼재한 고대의 풍속과 생활문화, 희로애락이 깃든 인류 보편적인 흥미로운 이야기에 특별히 주목했다. 작가는 『삼국유사』 에 등장하는, 우리가 읽고 들어 익숙하지만, 시각적으로는 여전히 베일에 싸인 주인공들을 도상으로 탄생시키기 위해 또 다시 회화적 실험을 감행한다. 그것은 최민화가 이번 연작에서 설정한 고대라는 시공간처럼, 동서고금의 경계가 해체된 이미지의 조합, 변주, 배치, 그리고 생성이라는 특유의 방법론이다. 

최민화(본명 최철환)는 1954년 서울시 종로구 통의동에서 태어났다. 신일중학교 재학 시절부터 문예부, 미술반에서 활동하면서 신문에 만평을 그렸고, 처음으로 유화물감을 사용해보기도 했다. 어린 시절부터 그림 실력이 뛰어났던 그는 신일고등학교를 졸업한 1974년, 홍익대학교 미술교육학과의 서양화 전공에 진학했다. 1976년 자화상으로 <부랑> 연작을 처음 시작했다. 1980년 5·18민주화운동을 입체 작품으로 표현한 <시민>을 《서울현대미술제》에 출품하였으나 안기부의 검열로 강제 압수되었다. 1981년 한국을 떠나 미국과 멕시코에 거주했고, 이듬해 1년 2개월 동안의 해외 거주를 끝내고 한국으로 돌아온다. 1980년대의 최민화는 민중미술 운동에 참여하며 활동가로서의 삶을 살아갔다. 1987년 6월 민주항쟁 당시 이한열의 노제에서 사용되었던 걸개그림 <그대 뜬 눈으로>는 가로 7m 세로 2.3m의 대작이었다. 6월항쟁과 노태우 정권이 들어선 1987년을 기점으로 순수 회화 작업으로 복귀한 그는 <부랑>(1976-1988) 연작을 마무리하고, <분홍>(1989-1999) 연작을 발표한다. 1994년 대안공간 성격의 전시장 ‘이십일세기 화랑’을 인사동에 연다. 2000년대 들어, <조선 상고사 메모>(2003-), <회색 청춘>(2005-2006), <20세기 연작>(2006-2007) 등 ‘역사 다시 보기’를 테마로 한 굵직한 연작을 발표한다. 2020년 20여 년 동안 준비한 새로운 연작 <Once Upon a Time>을 갤러리현대 개인전을 통해 발표한다. 대구미술관(2018), 합정지구(2016), 대안공간 루프(2017), 아르코미술관(2007), 대안공간 풀(2003)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했다. 《베트남에서 베를린까지》(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2018), 《히든 트랙, 중진작가초대전》(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12), 《유연한 금기》(쿤스트할레빈, 빈, 오스트리아, 2007), 《민중의 고동: 한국미술의 리얼리즘 1945-2005》(반다이지마미술관, 니가타, 일본, 2007), 《제6회 광주비엔날레: 열풍변주곡》(광주비엔날레 전시관, 광주, 2006), 《사춘기 징후》(로댕갤러리, 서울,2006), 《배틀 오브 비전스》(쿤스트할레다름슈타트, 다름슈타트, 독일, 2005) 등 다수의 국내외 기획전에 참여했다. 그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대구미술관, 일민미술관, 삼성미술관 리움 등 유수의 기관에 소장되어 있다. 2017년 제18회 이인성미술상을 받았다. 

Share

Selected Works

Exhibitions

Stories

For further information on Choi Minhw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