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ung Sang-Hwa was born in Yeongdeok, Gyeongsangbuk-do, and spent his childhood in Masan. In 1953 in the midst of the Korean War, he enrolled in the Painting department at the College of Fine Art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spite opposition from his family. After graduating in 1957, he participated in multiple group exhibitions such as The 4th Contemporary Artists Exhibition (1960), Actual (1962), and The 2nd Invitation Exhibition of the Congress for Cultural Freedom (1963).
Having first started his professional life as an instructor at Incheon Teacher’s School at the recommendation of Chang Bal, dean of the College of Fine Art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Chung Sang-Hwa soon became an active member of Contemporary Artists Association and Actuel that led the wave of the Korean Avant-garde at the time. During this time, he concentrated on expressing the pain of the Korean War through informel-style Avant-garde art. Through turbulent acts of throwing, spraying, inflating, twisting, and ripping out paint of intense colors, he transferred the gloomy social atmosphere upon canvas. As he was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4th Biennale de Paris, Biennale de Paris (1965) and The 9th São Paulo Biennial (1967), Chung started gaining acclaim in the international art world. After opening an exhibition and experiencing life in Paris for a year, his style still generally remained in the informel direction – but one starts to see the emergence of flat paintings.
In 1968, upon returning from a relatively short stay in France, Chung decided to firmly plant himself within international art currents instead of remaining in the comforts of Korea – which motivated his move to Kobe, Japan, in 1969. After moving, he sought transformation by departing from the previous informel-style paintings characterized by bold colors and rough matière, instead seeking depth within flat surface. He maintained the methodology of peeling off and filling in, but newly added a method of lifting canvas from its frame and folding as if to pleat. In this period, Chung Sang-Hwa restricted his use of color and limits the style strictly to flat painting – and from 1973, monochromatic grid paintings would emerge. His works have taken on grid-like forms and grammar since the mid 1970s, and this repetitive method appear consistently through the present day.
Since moving to France in 1977 until today, Chung Sang-Hwa’s practice has been intensely devoted to the perfection of the style born during his Kobe period, rather than to radical change. Progressing from earlier white grid works, he has introduced different colors such as black, blue, and red in monochrome, as well as constructed more meticulous densities of lattices where each grid takes on an individuality at the same time as creating harmony with one another.
After permanently returning to Korea in November 1992, Chung Sang-Hwa set up his studio in Yeoju, Gyeonggi-do, where he works from to this day.
Chung Sang-Hwa has held solo exhibitions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2021); Lévy Gorvy Gallery, London (2016); Gallery Hyundai, Seoul (2014); and Musée d'art moderne et contemporain, Saint-Étienne (2011). He has also participated in numerous group exhibitions in Korea and abroad including Challenge to the Unknown, Hyundae Fine Artists Association (Kim Tschang-Yeul Art Museum, Jeju, 2020), Korean Abstract Art: Kim Whanki and Dansaekhwa (Powerlong Museum, Shanghai, 2018), Rhythm in Monochrome: Korean Abstract Painting (Tokyo Opera City Art Gallery, Tokyo, 2017), Dansaekhwa: Korean Monochrome Painting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2012), Poetry in Motion, (Galerie Beyeler, Basel, 2007), Korean Drawing Now (Brooklyn Museum, New York, 1981), and more. His works are included in the permanent collection of major institutions worldwide such as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Leeum Samsung Museum of Art, Korea; Leeum, Samsung Museum of Art, Seoul; Seoul Museum of Art, Seou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okyo, Tokyo; Hirshhorn Museum and Sculpture Garden, Washington DC; Musée d’art modern et contemporain, +Saint Étienne; M+ Museum, Hong Kong; and Guggenheim, Abu Dhabi.
정상화는 1932년 경상북도 영덕에서 태어나 마산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한국전쟁이 진행되던 1953년에 집안의 반대를 무릅쓰고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를 입학하여 1957년 대학 졸업 후 《한국현대작가초대전》(1960), 《악튀엘 그룹전》(1962), 《세계문화자유회의초대전》(1963) 등 다수의 정기전, 그룹전에 참여하였다.
1957년 서울대 미대 학장이었던 장발의 추천으로 인천사범학교 교사로 사회생활을 시작한 그는 당대 전위 미술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던 현대미술가협회와 악튀엘의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이 시기 그는 6.25를 겪으면서 느꼈던 아픔을 앵포르멜 경향의 전위 미술로 표현하는 것에 몰두해 있었다. 물감을 던지고, 뿌리고, 부풀려서 비틀고 뜯어내고, 메우는 등 전후 어두운 사회적 분위기를 격동적인 행위와 강렬한 색채로 화폭에 담아냈다. 1965년 <제4회 파리비엔날레>, 1967년 <제9회 상파울루비엔날레>에 참여 작가로 선정되면서 본격적으로 해외 미술계에 소개되었다. 1967년 도불전을 개최한 뒤 1년간 파리를 경험하고 온 그의 화풍은 여전히 앵포르멜 경향이었으나, 도불 이전의 작품과 비교하면 화면에서 평면화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1968년 짧은 도불을 마치고 돌아왔지만 그는 한국에 머물러 안온한 작품 활동을 이어가기보다는 세계 미술 흐름 속에 자신을 위치시키고자 1969년 일본 고베로 건너가게 된다. 고베로 이주한 그는 내용 면에서도 기존의 강렬한 색채와 거친 마티에르를 사용한 비정형의 앵포르멜식 회화에서 벗어나 평면에 깊이를 탐구하며 변화를 모색한다. 이전의 앵포르멜 회화에서 선보였던 여러 방법론 중 ‘뜯어내기’와 ‘메우기’라는 방법론을 유지하고, 캔버스를 틀에서 떼어내어 주름 잡듯 접어내는 방식을 새롭게 추가한 것이다. 정상화는 이 시기 엄격하게 색을 절제하고, 내용에 있어서는 철저하게 평면화를 추구하며 1973년부터 단색의 그리드 회화를 선보이기 시작한다. 그의 작업들은 1970년대 중반부터 격자의 형태 및 규칙을 가지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기법은 현재까지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1977년 프랑스로 이주한 이후부터 현재까지, 정상화의 작업은 파격적인 변화보다는 고베 시기에 진행된 화풍의 완성도를 향해 모든 집념이 고취된다. 이전의 백색의 격자무늬 작품에서 좀 더 나아가 검은색, 푸른색, 적색 등 다양한 색을 단색화를 선보이게 되고, 격자무늬도 이전보다 더 정교한 밀도 속에서 각각의 그리드가 독립된 개별성을 가지면서도 서로 어울려 조화로운 화면을 구축하게 된다.
1992년 11월에 한국으로 영구 귀국하여 1996년 경기도 여주에 작업실을 짓고 자리 잡은 후에는 줄곧 한국에서 창작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정상화는 국립현대미술관(2021), 런던 레비고비 갤러리(2020), 뉴욕 레비고비 갤러리(2016), 갤러리현대(2014), 프랑스 생테티엔 현대미술관(2011)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미지(未知)에의 도전, 현대미술가협회》 (제주도립김창열미술관, 2020), 《한국의 추상미술: 김환기와 단색화》 (파워롱미술관, 상하이, 2018), 《단색의 리듬, 한국의 추상》 (도쿄 오페라시티 아트갤러리, 도쿄, 2017), 《한국의 단색화》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2), 《Poetry in Motion》 (바이엘러 갤러리, 바젤, 2007), 《오늘의 한국드로잉》 (브루클린미술관, 뉴욕, 1981) 등 다수의 국내외 기획전에 참여하였다. 그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삼성미술관 리움, 서울시립미술관, 도쿄현대미술관, 미국 스미스소니언의 허쉬혼 미술관, 프랑스 생테티엔 현대미술관, 홍콩 M+, 구겐하임 아부다비 등 국내외 유수의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