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Guiline (1936-2021) graduated from th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before moving to France where he graduated from the École Beaux-Arts and The Arts-Décoratifs in Paris where the artist currently lives and works.
Early in his career Kim worked on objectifying the flat surface of the painting and this focus on flatness has continued throughout his career. In the 1960s his works focused on the pure colors of black and white and their respective absorption and emittance of light. In the 1970s he began to compose smaller squares within the square canvas to deepen the monochrome paintings. Later in his career, Kim identified the dualistic relationship of using vivid primary colors and dots as base units.
Kim paintings explore the power and subtlety of transparency using thin layers of paint over sculpted mulberry. Applied to the canvas when wet and carved into furrow-like patterns, the paper embodies the spirit and cultural heritage of Korean culture. Accentuating the tactility and corporeal body of the work, Kim applies paint, slowly building up layers in minute accretions. For Kim, the nature of this ground becomes the innate spirit of the work that is subsequently highlighted and released by the layering of thin applications of paint. Kim describes the surface as being like a skin that captures the act of making. The artist also uses spray paint to subtly highlight the physicality of the surface, a method that engages the viewer’s sense of perception and presents the act of viewing as a kind of visual meditation. Utilizing a technique of removing oil from the oil paint enhanced the notion of flatness and became a trademark of Kim’s work via his matted canvas.
Kim’s works are in the public collections of, among others, the Musée des Beaux-arts de Dijon, Musée des Beaux-arts de Dijon, Musée National d’art modern de la ville de Paris, Centre National d’art contemporain, Centre National d’art et de culture Georges-Pompidou,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Seoul Museum of Art, Busan Museum of Art and Daegu Art Museum.
김기린(金麒麟)은 회화의 깊이를 되살리기 위해 평면을 다차원적으로 탐구하는 작업을 전개해 왔다. 1960년대, 그는 절대적 색이자 절대적 가치를지닌 순수한 흑색과 백색이 빛을 흡수하고 반사하는 특성에 집중했다. 1970년대에는 회화의 프레임, 단색, 순수한 색채가 지닌 역동성, 그리고 빛과의 무한한 관계에 대한 연구를 결합하였다. 이 시기에 그는 단색이나 다른 두 색으로 사각형 안의 사각형을 그린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연작을 발표했다. 작가의 이러한 탐구는 순수한 색채의 창으로 구현된 단색 회화 연작으로 이어졌다. 이 연작에서 화면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점은 무한히 변화하며 미묘하고 지속적인 움직임을 만들고, 이는 캔버스의 틀을 초월한다.
투명성과 불투명성이 결합된 김기린의 회화는 빛의 반사와 흡수 사이에서 균형을 이룬다. 그는 캔버스 전체에 풍부하고 정교한 움직임으로 물감을 얇게 발라 층을 더한다. 거의 알아볼 수 없는 직사각형 격자 안에 물감을 섬세하게 칠해 만든 점들로 인해 캔버스의 표면은 미세하게 조각된다. 직사각형 격자는 캔버스에 프레임 안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화면의 공간을 무한대로 개방함으로써 전통적인 프레임의 한계에 도전한다. 물감의 각 점과 그 안의 틀은 캔버스 표면에서 병치되고 여러 겹의 층을 형성해 깊이를 만든다.
김기린은 다른 작품에서 한지를 사용해 질감과 빛의 변화를 보완하며, 표면의 물리적 특성을 미묘하게 강조한다. 그의 작품은 작가 몸짓의 흔적의 결과이기 때문에, 매우 촉각적이고 물질적인 측면을 지닌다. 작가가 풍부한 움직임으로 캔버스 전체에 물감을 칠할 때의 속도와 각 층위가 느리게 건조되는 과정, 격자의 사각형 안에 각각의 점을 칠하는 과정 사이의 대비는 이러한 특징을 더욱 강화한다.
김기린은 회화의 표면을 일종의 피부라 설명한다. 그것은 작가가 그림을 그릴 때 발생한 움직임과 에너지를 포착하고, 일분 일초를 다투어 작업한 시간을 기록한다. 그는 작품을 마주하는 관람객을 자신의 지각 행위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작품을 보는 행위를 그림과의 단순한 조우를 넘어서는 일종의 명상으로 제시한다. 캔버스에 유채 물감을 여러 겹으로 쌓아 올리고, 물감이 마르기까지 긴 시간이 걸리는 작가가 선호하는 이러한 제작 방식은 회화 평면의 깊이를 탐색하고, 무광이 주는 투명성을 만들어낸다. 숨쉬는 피부와 같은 그의 작품은 항상 변화하는 매트한 빛의 흐름을 생성하는 종이로 덮인 한국 전통 창문과 문을 연상시킨다.